사업소개


공공기관 '수돗물만 먹습니다' 협약체결

공공기관에서 생수나 정수기물을 마시지 않고, 수돗물 마시는 것을 약속하는 사업입니다.

공공기관 음수대 설치 현황
- 서울시 : 1,364대 

- K-water : 103대 

- 한국환경공단 : 1대 

- 전주시 : 74대


2019


김해시와 '수돗물 음용 활성화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수돗물 음수대 설치 확산 그리고 공무원의 음용 실천과 수돗물 홍보 및 활성화 제도가 마련되었습니다. 서울시와 '수돗물 사랑' 협약식을 맺었습니다. 수돗물 인식개선 캠페인은 물론 '시민의 물복지 권리 찾기'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돗물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아리수 마을 및 시범거리를 조성하는등 '수돗물 마시는 문화' 확산을 위한 수돗물 홍보사업이 실시되었습니다. 


K-watwer와 미래세대 물교육 상호협력 협약 체결했습니다. 전국적으로 다양한 단체가 참여하여 미래세대에게 다채로운 물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18


대전세종 수돗물시민네트워크와 수돗물시민네트워크 주최로 충남대학교 수돗물 먹습니다 협약식을 개최하였습니다. 


또한 국회 음용수 수질검사 진행 및 수돗물 음수대 시범설치를 제안하는등 전년도의 기초지자체를 대상을 한 협약에서 울산시, 세종시 등 광역지자체로 확대됐고 국회나 국립대학교와 같이 공공기관으로 다양화 되었습니다.


2017


수돗물시민네트워크는 전북환경운동연합과 전주시와 2017년 4월 21일 전주시청에서 수돗물 음용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을 진행했습니다.


협약식을 통해 전주시는 기관내부터 수돗물 음용을 확대해 나가고, 더 나아가 제도적인 마련을 위해 힘쓸 예정입니다. 전주시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시청 민원실과 구청 민원실, 송천·평화·건지도서관, 보건소, 차량등록과, 한옥마을, 맑은물사업본부 등 총 14곳에 수돗물 음수대를 설치했습니다. 또한, 협약식을 계기로, 수돗물 음용율을 높이기 위해 시청 내 부서와 기초자치구 청사에 음수대 설치를 확대했습니다.


2016


2016년 공공기관 ‘수돗물만 먹습니다’ 협약 사업은 전국 특·광역시와 시, 군 지자체를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특히, 전국 지자체 중 경기도에서 수돗물 음용 활성화에 관한 가장 진보적인 조례라 일컬을 수 있는 ‘일회용 병입수의 사용 제한 및 수돗물 음용 촉진 조례’의 취지가 경기도내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수원시와 안산시에 협약을 제안했습니다. 그 결과, 수원시청과 의회에 수돗물 음수대가 시범설치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또 협약사업과 병행하여, 수도정책을 총괄하는 환경부가 전국 수도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도사업자 운영, 관리 평가」항목에 수돗믈 음용율 제고와 관련한 항목을 추가했다. 또, 민관 협업을 통한 수돗물 음용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가점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2015


2015년 3월 12일 서울시, K-Water, 한국환경공단이 협약서를 체결하였고, 이행 계획서를 발표하였습니다. 


협약 이후 K-water는 9개 시·군청 민원실과 K-water 본사와 지역 본부에 103대의 직결식 냉온수기를 설치하였습니다. 수돗물의 생산과 품질 관리에 책임이 있는 공공기관들이 관공서 내에서 수돗물만 이용하겠다는 서약과 실천을 통해 수돗물에 대한 신뢰를 증진하고, 음용률 제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수돗물시민네트워크에서는 후속 사업으로 1차로 4월~5월 17개 특광역지자체, 2차로 6월~7월에는 행정, 사법, 입법부 등 청사 내 수돗물 음용 현황과 예산을 조사하였습니다. 조사 이후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청사 내 음수대를 설치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수돗물네트워크는 모든 공공기관이 수돗물을 마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단법인 수돗물시민네트워크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2길 25-3 희명빌딩 나동 3층

대표 독고석 

사업자번호 101-82-13013

전화 02-730-0322

이메일 cntwater@naver.com

기부전용계좌 

예금주 : (사)수돗물시민네트워크

우리은행 1005-702-7276924

© 수돗물시민네트워크. All Rights Reserved.